썸네일에 익숙한 초록색 도서관 등이 보인다. 오슬로에서 대학교를 다닌 사람이라면 향수에 젖어서 볼 수 있고, 자녀를 오슬로의 대학교에 보낼 학부모라면 20대의 삶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시리즈다. <SKAM>이 10대를 다룬 성장 드라마였다면, <Semester>는 20대의 성장 드라마. 저예산 드라마로 노르웨이 내에서의 흥행은 미미했으나, 184개국에서 시청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고 역으로 NRK에 들어온 드라마로, 시청자의 60%가 25세 미만, 88%가 모바일로 시청을 했다는 차세대형 드라마의 모습을 보여준다.
주인공 엘링(Herman Tømmeraas)은 루스(Russ: 고등학교를 끝마친 기념의 축제 겸 행사)를 바로 앞두고 사랑의 좌절로 노르웨이를 떠나 8개월동안 파리에서 방황을 하다가 돌아온다. 8개월을 방황했건만 숙제를 고국에 남겨 놓고 떠난 사람이 늘 그렇듯이, 금요일에 던지고 나간 서류를 월요일에 줍는 직장인처럼 결국 피할 수 없었던 일들을 마주한다. 여자친구인지 아닌지 모를 그녀, 그리고 비행기표를 사느라 친구들의 돈을 떼어먹고 도망친 일에 대한 사죄.
극 중의 엘링은 부잣집 아들이지만, 엄마아빠 찬스는 단 한번 사용된다. 부모도 딱히 엘링한테 큰 관심을 주지는 않는다. 노르웨이인 답게 엘링은 이제 성인이니까. 돈도 머물 곳도 없는 노르웨이 청년은 흔쾌히 소파를 빌려준 옛 친구 써니와 함께 지내게 되고,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며 구질구질하지만 아직도 마음이 가는 사랑에 스스로의 대답을 정하고, 오슬로 서쪽 부잣집 도련님과 인도계 이민자 2세 사이에 존재하는 아슬아슬한 사회적/계층적 긴장감을 이해로 풀어나간다.
시즌 1이 고등학교를 마치고 방황하는 엘링을 그렸다면, 시즌 2는 엘링이 대학교를 들어가면서 시작한다. 배경은 오슬로의 학생 기숙사. 속옷만 입은 광란의 파티속에 등장한 독실한 기독교인 노르웨이 여학생, 독일에서 온 애주가 교환학생, 다소 양산형 주커버그같은 스웨덴 IT 남학생, 이상한 짓을 하는 의문의 불안한 심리학과 학생 등이 속속 등장하며 흥미로운 스토리가 펼쳐진다. 새벽에 홀로 깨어 잠 못드는 날들이 있었다면 공감 할 수 있는 드라마다. 감각적인 영상과 선곡이 장점이다.
2018년에 오슬로에서 촬영되고 2019년에 방영되었으며. 시즌3은 10월 중 방영 예정이다. NRK 사이트에서 직접 볼 수 있으며, 해외에서는 https://null-video.webflow.io/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한줄평: 부잣집 YOLO 도련님이 정신차리고 레마1000에서 성실히 일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